가볼만한 전시 추천도 한입😋 안녕하세요! 예술한입의 새로운 컨텐츠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코너를 소개합니다! |
|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는 현역 30년차 미술 전문가에게 미술에 대해 궁금한 그 무엇이든 물어볼 수 있는 코너입니다!
답변을 해주실 전문가 분은 현재 인사동에서 갤러리를 운영하고 있으며, 30년 차 컬렉터이자, 법원 행정처의 미술품 서양화 부문에 공식 등록된 감정인입니다😎
이렇게 오랜 기간 현역으로 활동하면서 쌓인 경험과, 감정위원 활동으로써의 전문성이 더해졌다니, 정말 미술시장의 흐름에 대해서 빠삭하게 알고 계실 것 같아 당장 무엇이든 물어보고 싶어지는데요!😊
|
|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코너는 매주 월요일에 질문 폼이 올라오고 금요일에 답변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질문은 월요일부터 수요일까지 열려있으며, 답변은 아트스퀘어의 SNS 계정에 일부가 실리고 전체는 뉴스레터를 통해 공개됩니다! |
|
|
막상 전문가에게 물어보려니, 심도있는 질문을 해야만 할 것 같고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전혀 그럴 필요 없이 가벼운 질문들도 괜찮아요! 예를 들면 '작품 사는 사람들은 얼마나 부자여야 하나요' 처럼😆 |
|
|
그동안 미술시장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편하게 질문해주시면 됩니다! |
|
|
미술 시장도 경제 흐름을 따라간다면, 미술품🎨에 투자하는 것은 주식보다 안전하다고 볼 수 있나요? |
|
|
가장 큰 차이점은 주식은 회전이 빠르고 그림은 투자 주기가 길다는 것입니다.
서로 장점이자 단점으로 적용되는데, 빠른 진행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주식에 조금 더 관심이 있겠고, 오래 묵혀둘 수 있는 사람들에겐 그림 투자도 잘 맞겠지요.
두번째로는, 똑같이 투자를 하고 똑같이 장이 하락했을때 주식은 하락한 만큼 돈이 사라지지만, 그림은 가격이 아무리 떨어진다 해도 실물 작품은 그대로 남아있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술은 투자 목적 외에도 심리적인 풍요를 제공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현재 미술 시장이 급격히 떠오르며 미술품 투자에만 많은 관심이 몰리고 있는데, 그 이전에 미술은 예술의 영역으로 존재했습니다. 그래서 주식과 미술의 비교는 단순 금융 자산과 예술을 비교하는 것으로 그 성격이 조금 다르다고 보지만, 그래도 경제학적 측면에서만 비교해봐도 주식이 조금 더 리스크가 큰 편입니다. 그림도 등락하는 사이클이 있지만, 거장의 작품은 묵혀두면 언젠가는 어떠한 가격 이상으로 올라가기 때문이죠. |
|
|
전문 감정인🕵️♂️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
|
일단 현재 국가에서 정식으로 인정하는 자격증이나 시험은 아직 없습니다. 대학에서 운영하는 교육기관이 있긴 하지만 해당 코스를 수료한다고 해서 국가 공인 감정인이 되는 것은 아니기도 하고요.
그 이유는 감정인은 자격증의 문제가 아니라 정말 안목을 지닌 사람이어야해서 그렇습니다.
감정인은 단순히 이론적 지식을 많이 쌓는다고 되는 것이 아닌, 다년간의 실전에서의 경험이 필수적입니다. 관련학과를 4년 재학한다거나, 자격증을 위해 몇 년 공부한다고 해서 감정을 할 만큼의 안목이 쌓이기는 어렵기 때문에 일종의 인증 제도를 운영하지 않는 것이기도 합니다. 적어도 20년, 30년 이상은 미술계에 몸담고 있어야 작품을 판단할 수 있는 감각이 생긴다고 봅니다. |
|
|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예술한입의 에디터, sue 입니다.
에디터로써 인사 드리는 것은 처음인데요😉
다름이 아니라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코너의 시즌 1 종료를 알려드리려
이렇게 앞으로 나와보았습니다 :D
무물보 vol.1이 미술 전반의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하는 형식이었다면,
vol.2는 작가와 작품에 조금 더 집중해 볼 예정입니다.
미술계에서 오랜 기간 데이터를 쌓아오지 않았다면
알기 힘든 숨겨진 비하인드 스토리들!
김환기, 박서보, 백남준, 이우환 등 한국 현대 미술 거장들의 이야기를
한입에🥄떠먹을 수 있도록 준비한 코너입니다😋
그동안 무물보 시즌 1을 사랑해주셔서 감사드리며
몇 주 간의 재정비 후 새로운 시즌으로 곧 찾아뵐테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무물보 외의 경매 정보 요약과 작가 소개,
전시 추천 컨텐츠는 이전과 똑같이 진행됩니다!
감사합니다😁 |
|
|
장욱진 회고전 : 가장 진지한 고백
#국립현대미술관
장욱진은 한국 근현대 화단에서 이중섭, 김환기, 박수근, 유영국과 함께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히는 2세대 서양화가이자, 1세대 모더니스트입니다. ‘지속성’과 ‘일관성’은 장욱진 그림의 주요한 특징입니다. 그는 나무와 까치, 해와 달, 집, 가족 등 몇 가지로 제한된 일상적이고 친근한 소재만을 평생에 걸쳐 그렸습니다. 그러면서도 재료를 가리지 않는 자유로움과 고정된 틀에 얽매이지 않는 창작 태도를 보여주며 끊임없이 변화를 시도하여, 현재 알려진 작품들만 해도 유화 730여 점, 먹그림 300여 점으로 그 수가 상당합니다.
또한 서양화를 기반으로, 동양적 정신과 형태를 가미하면서도 서로 무리 없이 일체를 이루는 경우는 장욱진 화백 외에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평을 듣습니다.
이번 전시는 1920년대 학창 시절부터 1990년 작고할 때까지 약 60여 년간 꾸준히 펼쳐 온 유화, 먹그림, 매직 펜 그림, 판화, 표지화, 삽화, 도자기 그림을 한 자리에 모았습니다.
장욱진 화백은 '참된 것을 위해 뼈를 깎는 듯한 소모'까지 마다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나는 정직하게 살아왔다고 당당하게 외치며 진솔하게 창작에 전념했습니다.
그가 떠난지 30여년이 흘렀지만, 그의 그림은 지금도 여전히 세상을 향해 고백합니다.
“그림처럼 정확한 나의 분신(分身)은 없다. 난 나의 그림에 나를 고백(告白)하고 녹여서 넣는다.
나를 다 드러내고, 발산하는 그림처럼 정확한 놈도 없다.”
‐ 장욱진, 『조선일보』, 1973. 12. 8.
🎄전시 장소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전시 기간 : 2023.09.14.(목) ~ 2024.02.12.(월) 🎄전시 시간 : 10:00 ~ 18:00 (월요일 휴관) 🎄전시 가격 : 2,000원 (덕수궁 입장료 1,000원 별도)
|
|
|
모더니스트 미술은 매체 자체의 특수성에 몰두하는 것으로, 다른 예술 매체로부터 차용한 모든 효과들을 제거하고 고유한 본성에 집중하며 순수함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모더니스트 회화는 회화의 매체를 구성하는 한계, 예를 들어 평면, 캔버스의 형태, 물감 등을 온전히 받아들입니다.
그중에서도 평면성은 회화가 다른 어떤 예술과도 공유할 수 없는 유일한 조건이기 때문에, 엄격한 평면성의 추구야말로 모더니스트 회화가 지향하는 목표였습니다. |
|
|
구본창의 항해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은 사진미술관 개관을 앞두고 한국 현대 사진뿐만 아니라 동시대 미술을 대표하는 구본창 작가의 회고전을 개최하였습니다.
구본창 작가는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 현대 사진의 시작과 전개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입니다. 그가 작가이자 기획자로 개최한 ≪사진 새시좌(視座)≫(1988)에 출품된 작품들은 ‘연출 사진(making photo)’ 이라는 새로운 형식으로, 한국 사진계와 미술계에 파란을 일으키기도 했는데요.
구본창 작가로 인해 사진은 객관적인 기록이라는 전통적 역할을 뛰어넘어 회화, 조각, 판화 등 다양한 매체의 속성을 반영하며 주관적인 표현이 가능한 예술 세계로 인식되며 새로운 지평이 열렸습니다.
이번 전시는 사진, 드로잉, 기록물 등 그간 접하기 어려웠던 작품 약 500여 점과 자료 600여 점을 선보이는 대규모 회고전입니다. 자신의 길을 찾아 용기 내어 먼 항해를 떠났던 1979년에서 45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구본창 작가의 작품은 국내외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었고, 전시 역시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동안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 기획자로 국내외 전시를 통해 한국사진의 세계화에 기여했고, 동료들의 작업을 해외에 알렸으며, 시대를 앞서가는 실험적인 작품으로 사진을 현대미술의 장르로 확장해온 작가의 ‘항해’를 따라, 너와 나, 우리의 존재와 삶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전시 장소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전시 기간 : 2023.12.14(목)-2024.03.10(일) 🍁전시 시간 : 평일 10:00-20:00 / 주말·공휴일 10:00-18:00 (월요일 휴무) 🍁전시 가격 : 무료 |
|
|
|